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 & AI

[인공지능 시리즈 1] 인공지능의 정의와 역사

by 50스마트맨 2025. 11. 24.

인공지능의 정의와 역사(이미지 출처 : 코파일럿 생성 이미지)


AI, 정말 무엇일까?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는 이제 너무 흔하게 들리지만, 막상 정확히 설명하려면 쉽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은 스마트폰 속 음성 비서를 떠올리고, 또 다른 사람은 영화 속 로봇을 생각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단순히 기계가 똑똑해지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거나 확장하는 기술을 총칭하는 개념입니다.

즉,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때로는 창의적인 결과까지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검색엔진, 추천 알고리즘, 자율주행 자동차, 의료 영상 판독 시스템 모두 인공지능의 다양한 모습입니다.

 


🤖 인공지능의 정의

  • 기능적 관점: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 예를 들어, 음성 인식이나 언어 번역은 인간의 지능적 활동을 모방한 사례입니다.
  • 기술적 관점: 데이터를 학습하고 규칙을 찾아내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과 시스템. 머신러닝과 딥러닝이 대표적인 기술입니다.

오늘날의 AI는 단순한 규칙 기반을 넘어 스스로 학습하고 진화하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인공지능의 역사

1. 초기 개념과 튜링 테스트 (1940~1950년대)

  • 튜링의 질문: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해 튜링 테스트가 제안되었습니다.
  • 기준 제시: 인간과 대화했을 때 기계인지 사람인지 구분할 수 없다면, 그 기계는 ‘지능적’이라고 볼 수 있다는 기준이었습니다.

2. AI 연구의 태동 (1956년 다트머스 회의)

  • 용어 탄생: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등장했습니다.
  • 초기 낙관: 기계가 언젠가 인간처럼 학습하고 추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강한 기대가 연구를 이끌었습니다.

3. 규칙 기반 시스템과 첫 번째 AI 붐 (1960~1970년대)

  • 전문가 시스템: 명시적 규칙을 기반으로 제한된 도메인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이 의료·산업 현장에서 활용되었습니다.
  • AI 겨울: 데이터와 계산 능력의 한계로 성과가 정체되며 기대가 꺾이는 침체기가 찾아왔습니다.

4. 머신러닝의 부상 (1980~1990년대)

  • 데이터 중심 접근: 규칙 대신 데이터에서 패턴을 학습하는 머신러닝이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 신경망 재조명: 퍼셉트론 한계를 넘기 위한 다층 신경망 연구가 이어졌지만, 하드웨어 성능은 여전히 제약이었습니다.

5. 딥러닝과 현대 AI의 폭발적 성장 (2000년대 이후)

  • 빅데이터·GPU: 대규모 데이터와 병렬 연산의 확산으로 딥러닝이 본격화되었습니다.
  • 성능 도약: 이미지·음성·자연어 처리 등에서 인간에 근접하거나 능가하는 결과가 나오며 오늘날의 AI 붐을 견인했습니다.

🧩 현재와 미래를 잇는 AI

  • 추천 시스템: 유튜브·넷플릭스가 취향을 학습해 개인화 콘텐츠를 제안합니다.
  • 의료 보조: 영상 판독과 진단 의사결정을 지원해 정확성과 효율을 높입니다.
  • 자율화: 자율주행과 스마트 공장이 산업 전반의 자동화를 촉진합니다.

생성형 AI는 텍스트·이미지·음악을 스스로 만들어내며 인간의 창의성을 확장하는 협력 도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이미지 출처 : 픽사베이)

🏥 마무리

인공지능의 정의와 역사를 살펴보면,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인간의 지적 활동을 확장하는 도전의 역사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튜링의 질문에서 시작해, 규칙 기반 시스템, 머신러닝, 딥러닝을 거쳐 오늘날 생성형 AI까지 이어진 여정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인공지능의 주요 기술”을 다루며, 머신러닝과 딥러닝 같은 핵심 기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왜 중요한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